티스토리 뷰
이전까지 사용했던 툴들(PuTTY, SecureCRT 등)은 마우스로 해당 텍스트를 긁으면(선택하면) 자동으로 복사가 되었다.
그러다 최근에 개인용으로 XShell을 쓰게되면서 조작법이 달라 조금은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겪게되었다.
[ XShell 에서의 복사 / 붙여넣기 방법 (기본설정) ]
1. 복사할 경우
- 마우스로 복사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블록지정한다.
- 마우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[복사]를 선택하거나 단축키( Ctrl + Insert )를 이용하여 복사한다.
2. 붙여넣을 경우
- 마우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[붙여넣기]를 선택하거나 단축키( Shift + Insert )를 이용하여 붙여넣는다.
기본적인 설정으로 그대로 사용하려면 위와 같이 사용하면된다.
그래도 PuTTY나 SecureCRT처럼 마우스를 드래그 선택하는 순간 [복사]가 되고 마우스 우측버튼을 클릭하면 [붙여넣기]를 하고 싶다면
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면된다.
메뉴 > 도구 > 옵션 을 선택한 후, <옵션> 창에서 키보드와 마우스 탭을 클릭한다.
해당 탭에서
<마우스> 옵션부분에서 오른쪽 단추(R): 을 '클립보드의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.' 로 변경한다.
(기본적으로 팝업 메뉴 열기로 설정되있는데 나의 경우는 이 기능은 가운데 단추 클릭 시 로 변경하였다 쓰지 않을 사람은 설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)
그리고나서
<선택> 옵션부분에서 '선택한 텍스트를 자동으로 클립보드에 복사(C)' 체크박스를 체크해준다.
이후 [확인] 버튼을 클릭하면 마우스로 복사 / 붙여넣기가 되도록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mkfs
- 윈도우 시작
- CentOS7
- ES6
- 쿼리 히스토리
- 쿼리 이력 조회
- Template literals
- pvscan
- 설정
- NTS
- mke2fs
- Thread safe
- VirtualBox
- firewall-cmd
- lvextend
- 용량 늘리기
- pvresize
- fstab
- firewalld
- 가상머신 저장소 용량 늘리기
- javascript 멀티 라인
- 리눅스 가상
- Non Thread Safe
- 끄기
- 내리기
- 시작프로그램 등록
- 복사 붙여넣기
- 레지스트리 등록
- File
- resize2f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